본문 바로가기
Tip

2026학년도 수시·정시 일정 정리 및 지원 전략 (수험생 필독)

by Dragon.J 2025. 11. 2.
반응형


🎓 2026학년도 수시·정시 일정 정리 및 지원 전략 (수험생 필독)

안녕하세요 😊
오늘은 수시·정시 일정과 함께, 수험생이라면 꼭 알아야 할 지원 전략을 정리해볼게요.
요즘 고3 학생들, 그리고 학부모님들 모두 입시 일정 때문에 정신없죠.
“수시는 언제까지 준비해야 하지?”, “정시는 수능 끝나고 바로 지원하나?”
이런 고민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.

이 글 하나로 전체 일정과 실전 전략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.


---

📅 수시 일정 총정리

수시는 대학별로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, 대학입시 공통 일정은 대체로 다음과 같아요.

구분 주요 일정 비고

원서접수 2025년 9월 초~중순 대학별로 3~5일간
서류제출 마감 원서접수 마감 후 약 3일 이내 온라인 업로드 또는 우편
1단계 합격 발표 10월 중순~11월 초 서류 or 학생부 위주 전형
면접/실기 고사 10월~11월 중순 대학별 고사 일정 다름
최종 합격자 발표 2025년 12월 13일(예정)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기준
등록 기간 12월 16일~18일(예정) 미등록 시 자동 취소


👉 포인트:
수시는 수능 전에 거의 마무리되는 구조예요.
따라서 내신, 비교과, 자기소개서 준비는 여름방학 이전에 끝내야 합니다.


---

🎯 정시 일정 한눈에 보기

수능이 끝나면 곧바로 시작되는 정시 일정!
정시는 점수로 승부하는 만큼 전략이 중요합니다.

구분 주요 일정 비고

수능 시험 2025년 11월 13일(목) D-day의 주인공!
성적 통지 11월 26일(수) 원점수·표준점수·백분위 확인
원서 접수 2025년 12월 27일~31일 5일간 일괄 진행
합격자 발표 2026년 1월 15일(예정) 대학별로 상이
등록 기간 2026년 1월 17일~20일(예정) 잔여 등록기간 포함
추가 합격자 발표 1월 말까지 순차적으로 ‘전화 합격’ 놓치지 말기!


👉 포인트:
정시는 가군·나군·다군으로 나뉘며,
한 군당 한 대학만 지원 가능해요.
즉, 최대 3개 대학 지원 가능!


---

💡 수시·정시 지원 전략 (합격 확률 높이는 법)

① 수시와 정시의 균형을 잡아라

수시 6장 모두 상향 지원은 ❌
→ “3상 2적 1하” 공식 추천 (상향 3, 적정 2, 안정 1)

수시 합격 후엔 정시 자동 지원 불가이므로,
‘수시 포기각서’ 각 대학별 규정을 미리 확인하세요.


② 내신형 vs 수능형 구분하자

내신이 2등급대 이하라도 논술·실기 전형은 기회가 많아요.

반대로 모의고사 성적이 꾸준히 오른다면 정시 중심 전략이 유리합니다.

9월 모평 결과를 기준으로 ‘어디에 승부수를 던질지’ 결정하세요.


③ 교과·비교과·면접까지 준비는 지금부터

교과 전형은 내신이 90%,
비교과(자소서·동아리·봉사)는 대학별 서류에서 ‘합격의 마무리 역할’을 합니다.

면접 전형은 “핵심을 짧고 진솔하게” 말하는 연습이 중요해요.
(예: 전공 선택 이유 → 경험 → 미래 목표 순으로 답변 구조 잡기)


④ 정시는 ‘점수 전략표’로 판단하라

성적표 받으면 ‘표준점수 vs 백분위’에 따라 유리한 영역이 달라요.

대학마다 반영비율이 다르기 때문에
‘국수탐 비율표’를 정리해보세요.

백분위형 대학 vs 표준점수형 대학을 나누어 지원하면
선택 폭이 넓어집니다.



---

✍️ 마무리 : 전략은 “타이밍 + 정보력”

입시는 결국 정보 싸움이에요.
“남들보다 먼저 알고, 정확히 지원하는 것”이 가장 큰 전략입니다.

수시는 빠른 준비, 정시는 냉정한 분석이 핵심이에요.
당장의 내신이나 모의고사 점수보다
끝까지 집중하는 학생이 결국 웃습니다.

수험생 여러분 모두,
여기까지 온 것만으로 이미 대단합니다 🌟
마지막까지 포기하지 말고,
자신이 원하는 대학 문을 꼭 두드려보세요!

반응형